book two/book

[bOOK] 기록의 쓸모

rivervox 2025. 8. 8. 19:08

시작 | 20250808

마침 | 20250808

저자 | 이승희/북스톤/2020.05.21


최근 읽은 일련의 책들은 꼬리에 꼬리를 무는 것처럼 인과 관계를 가지고 있다. 나는 그 책들을 통해 내가 가진 프레임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는 중이다.

 

책의 제목은 '기록의 쓸모' 인데, 마케터로서의 삶에 대한 자서전 같은 느낌이다. 기대했던 바와는 좀 다르다. 다만 저자가 책의 제목을 왜 이렇게 정했는지는 알겠다. 기록에서 중요한 #영감수집 에 대한 다양한 각도의 시선이 담겨져 있다.

 

책은 산만하다. 책을 관통하는 주제를 살짝 건드리기도 하지만 여기 저기 발걸음을 멀리 흐트러뜨려 놓는다. 그래서 기록에 대해 알고 싶었던 마음에는 실망감을 주었다. 그러나 기록의 끝을 잡고 쏘다니는 경험담은 재미 있었다.

 

결국 기록, 그 자체가 가장 쓸모 있는 것이었다. 방법이 무엇이든, 도구가 무엇이든, 그건 중요하지 않았다.


 

제목
저자
작성일
기록의 쓸모
이승희
20250808
Copy
  • 효용성이나 효과보다는 ‘기록’이라는 결과물 자체가 기록의 가장 큰 쓸모 아닐까 싶습니다.
  • 커뮤니케이션은 스킬이라기보다는 태도의 영역이라는 생각을 했다.
  • 이미 머릿속으로 결론을 내려놓고 시작하는 대화가 최악인 것 같다.
  • 변하지 않는 전제에 집중해야 헛고생을 하지 않는다.
  • 좋아하는 걸로 넘치게 채워서 복잡한 마음을 밀어내는 것. 이것이 또 다른 의미의 비우는 삶 아닐까.
  • 하루 동안 나에게 온 영감을 이렇게 (내 안에서) 체화하는 시간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래야 내 것이 된다.
  • 다양한 영감을 얻으려면 두 가지가 필요하다. 열린 마음과 스스로 질문하는 습관.
  • 세상에 하찮은 것은 하나도 없다. 하찮다고 바라보는 태도만 있을 뿐.
  • 나만의 언어를 가지려면 기록이라는 형태를 간과할 수 없다는 것. 그런 맥락에서 ‘나답게 사는 삶’의 토대를 만들어주는 것이야말로 기록의 힘이라 믿는다.
Contents
쓸모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기록을 잘 하는 방법과 그 기록의 의미를 잘 알려준다. 처음에 기대했던 기록하는 방법이나 도구에 관한 이야기는 많지 않다. 사적인 담론을 통해서 기록의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납득시켜주었다. 결국은 기록, 그 자체가 가장 쓸모 있는 것이다.
Gain
#쓸모의재발견 #관찰과실행 #이어주는기록 #피드백 #트렌드 #변하지않는것 #아티스트 #영감수집 #열린마음 #질문
Change
  1. 기록 습관 들이기
  2. 내가 사는 곳의 이야기 하기
  3. 열린 마음으로 스스로에게 질문을 자주 해보자.
  4. 영감 체화 시간 가지기
  5. 아티스트가 되자, 아티스트란 끊임없이 나와 충돌하는 사람!
  6. 변하지 않는 가치에 더 주목할 수 있도록
  7. 나의 기록의 궁극적인 목적, 내가 모를 수 있는 내면을 좀 더 잘 파악할 수 있기 바란다.

 

'book two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K] 기록하기로 했습니다.  (8) 2025.08.08
[bOOK] 프레임  (0) 2025.08.07
[bOOK] 한 번 읽은 책은 절대 잊지 않는다  (4) 2025.08.06
[bOOK] 청춘의 독서  (0) 2025.07.04
[bOOK] 강남  (1) 2025.07.02